기사나 군주에 어울리는 장비인 붉은기사의 대검과 돌장갑에 대하여 금일은 소개를 해드리겠습니다. 출석체크로 받은 룸티스검은빛귀걸이를 사까지 업그레이드하고 욕심에 오에서 날려서 기분이 좀 씁쓸하긴하지만 정보는 알려드려야겠죠. 담번엔 사까지만 업글도전해야겠습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돌장갑은 상당히 이름대로 방어형으로 구분되며 붉은기사이대검은 거의 피케이에 굉장히 유용한 검인데 무서운건 풀카오로 갈수록 검의 대미지가 강력해진다는 것입니다. 전 이 검을 보면서 그동안 피케이로 랭킹에들어가는 분들이 이런종류의 희귀검을 착용하고 타캐릭터들을 죽이고 다니는것인지 생각이 되었습니다. 이런검이 구검이상이라면 너무 아픕니다. 이름조차 붉은기사죠. 피케이를 떠올리게하는 템명입니다. 붉은아이디....

 

 

먼저 돌장갑입니다. 사용가능 클래스는 전체로 적용되는군요. 기본적인 물리방어력이 삼방이나 됩니다. 거기다가 대미지 리덕션 옵션이 일붙습니다. 방어에 굉장히 특화된 장갑이군요. 재질이 광석으로 무게가 오십나가네요 장갑류치고 무거운편입니다. 하지만 군주나 기사 불요정 힘법사는 좋은 장비입니다. 근거리 케릭터일수록 효과가 이런옵션에서 효율을 많이 봅니다. 물리방어 마법방어 대미지 리덕션이 굉장히 높은 옵션으로 보유하신다면 당신의 케릭은 엄청난 방어력을 지니게 될것입니다. 이런분들은 때려서 피나 깍일지 모르겠습니다. 암튼 좋은 장갑아이템임에 틀림없음을 확인하면 제작을 살펴보겠습니다.

 

 

제작비는 예상대로 상당히 비싸군요. 최고급철이 아홉개가 들어갑니다. 축복의 가루 이백개 그리고 제작비가 오십만과 희귀 방어구 제작 비법서가 들어가네요. 총 소모되는 아데나는 육백십만아데나가 사용됩니다. 하지만 그만한 가치는 충분히 지닌 방어구입니다. 비록 만드는데 시간이 걸릴지라도 얻고나면 오래도록 사용가능한 템이기때문에 기성비 갑인 옵션입니다. 이 능력치를 보고 무슨 이게 가성비 갑이냐?라는 분들도 있으실지도 모르지만 당신이 고급등급만 계속 사용하다가 희귀등급이 생긴다고 생각해보십시오. 그런말 마음속으로 쏙 들어갈 것입니다. 거기다가 전 무과금일 경우를 기본으로 알려드리는것이지 과금유저분들은 이런거 쉬울지도 모릅니다. 전 개인적으로 과금은 실력이 아니라고 생각하며 알려드리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제 붉은 기사의 대검을 소개해드릴 차례이군요. 기사와 군주만이 착용가능하며 추뎀과 무기 명중은 일단 이라는 옵션수치가 붙습니다. 큰 대상 대미지가 이십삼이며 작은 대상 대미지가 이십이네요. 팁으로 con을 일수치 올립니다. 양손무기라서 당연히 기본적인 대미지가 쎈편이긴 합니다. 재질이 철이라 많은 무게가 나갑니다. 일백수치네요. 중요한 것은 이부분부터입니다. 설명란... 카오틱 성향일수록 검의 공격력이 강해짐 이 말은 점점빨갱이가 될수록 알지못하는 수치로 검의 대미지가 올라간다는 소리죠. 누구도 어느정도인지 알수가 없지만 피케이로 이검의 주인과 싸운다면 상대가 풀카오일 경우 상당한 타격을 예상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검은 말그대로 피케이검이지 사냥용검이 아닙니다. 몬스터를 많이 잡으면 자연히 카오틱 성향이 약해지므로 손해입니다. 타 유저들을 마구 죽이고 다녀야합니다. 무서운 검이군요.

 

 

제작편인데요.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가능합니다. 위 돌장갑은 엄청 많이 들어갔는데 이건 얼마안든답니다. 기사분들이라면 이검은 예비로 만들고 어느때는 아무것도 아닌것처럼 다니다가 피케이할 마음이 생긴다면 언제고 필드를 타유저들의 시체로 만들생각일수도 있을것 같네요. 아직 제 주위에서는 이 검은 가지신분은 없습니다. 평화를 사랑하는 분들이기때문이죠. 만약 이런 검으로 제 요정을 친다면 몇초안으로 마을로 베르하거나 하늘을 보고 있을것 같습니다. 암튼 제작비 자체가 얼마안들어서 부옵션 검으로 창고에 보관하셔도 무방하기도 할것 같습니다. 다만 사냥용이 아닌 피케이용으로입니다. 그럼 이 부분도 이 정도로 소개를 마치며 다음을 기약하겠습니다.

Posted by 황개

블로그 이미지
자주 놀러들 오세요^^:: 복 받으실거에요~~!
황개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08-07 23:26

최근에 올라온 글

달력

 « |  » 2025.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