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9. 23. 09:11 기사
린M 완력의부츠와 완력의티셔츠
흐린날씨로 아침이 시작되고 있네요. 안개가 심한듯 합니다. 머 어쨌든 날씨와 별개로 전 장비를 소개시켜드리겠습니다. 이번 타임에 파헤쳐 볼 장비는 리니지M의 기사에게 많이 유용할 완력의 부츠와 티셔츠입니다. 희귀등급으로 제작을 통하여 얻으실 수가 있습니다. 보통 강철부츠로 오강이상 질러서 많이들 쓰시고 계시죠. 각인장비상자를 열었을때 가장많이 나오는 고급등급품목으로 강철시리즈인데요. 그러다가보니 러쉬를 많이들 가셔서 물리방어도를 낮추십니다. 티셔츠는 보통 고급 등급의 요정족티셔츠나 이밴트로 주어지는 낡은 스텟 티셔츠를 쓰십니다. 가장 수월하게 얻기 때문이겠죠. 하지만 이런 품목들은 옵션에 한계가 있습니다. 고급템이기 때문이죠. 좀더 나은 옵션을 바란다면 희귀등급으로 진입해야 할것입니다. 저도 희귀등급들을 준비중인데 전부 희귀등급에 오시리즈나 칠시리즈정도 착용해야 용계서 사냥이 수월할 것 같았습니다.
완력의 부츠입니다. 사용클래스는 전부 사용가능하답니다. 물리방어가 삼방이나 기본으로 내려가며 힘스텟을 일수치 올려주는군요. 가죽 재질이라 강철에 비해 상당히 가볍습니다. 일반 물리방어도만 따진다면 수치는 같으나 힘스텟과 무게면에서 상당한 득을 볼수가 있는 부츠입니다. 하지만 희귀템인만큼 러쉬는 쉽지가 않으니 삼수치까지 업그레이드한 다음에 축젤로 사업글이상의 도전을 가시면 될것 같습니다. 힘수치도 일차이면 거의 동일급 케릭터들 사이에서는 승패를 가르는 기준이므로 절대 무시하시면 안된답니다. 무게가 중요한 이유는 많은 물약을 가지고 사냥을 갈수가 있기때문입니다. 그만큼 사냥할수 있는 시간이 생기면 자연히 텔레포트 비용도 줄어들겠죠.
제작편입니다. 가격이 상당히 나가긴 합니다. 최고급 가죽의 수량이 아홉개라 오백사십만아덴이군요. 제작완료비는 육백십만아데나입니다. 역시 사업글에서 무리하게 러쉬를 진행하기에는 상당한 부담이 있는 신발류입니다. 여유가 많으시다면 자주 러쉬를 하셔도 되지만 그런분들은 거의 찾기 힘든것으로 압니다. 이정도 매일 러쉬를 간다면 하루 벌이가 천만 아데나 정도는 필드에서 먹어야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만 제가 알기로는 그런분은 전혀 없습니다.
완력의 티셔츠입니다. 전체가 사용하는데 역시 일번은 기사겠죠. 물방이 일수치가 내려가며 근거리 대미지가 일오르고 힘스텟도 일오른답니다. 천재질로 무게는 거의 안나간다고 봐야겠네요. 낡은 스텟의 티셔츠는 해당이름의 스텟만 일옵션 붙고 요정족 티셔츠는 요정만 착용가능하고 무옵션이랍니다. 하지만 희귀등급의 스텟 티셔츠는 각 케릭별로 골고루 사용하도록 다 있으므로 맞게 만드시면 되겠습니다. 비교해보시면 기본 업그레이드만 진행한다고 해도 물방만해도 오방이 내려간갑니다. 게임을 진행하시다가 보면 후반으로 갈수록 일방을 내리는게 쉽지가 않으므로 충분히 판단하고 일방도 소중히 생각하셔야 합니다. 거기다가 근거리 대미지와 힘스텟도 있으니 일번은 기사 이번은 불요정 삼번은 군주 사번으로 힘법사가 사용하면 좋겠습니다.
최고급천이 여섯개라 부담이 많이 되는 아덴은 아닙니다. 그러나 어느정도는 벌으셔야겠습니다. 보통 티셔츠는 속방어구라 생각하고 겉장비인 갑옷류에 먼저 방어도를 마추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도 처음에는 그랬으니까요. 하지만 부옵션들이 붙은 장비들이 속속등장하므로 속장비라하더라도 어느면에서는 겉장비보다도 좋은 질이므로 질에따라서 강화를 진행하셔서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칠십대 레벨에 물방 일백사십이상 마방 일백이십방 정도면 용계에서 피도 안달지 싶긴합니다. 하지만 꿈의 수치이겠죠. 오늘도 득템들 많이 하시고 고급등급이상의 희귀장비를 같이 하나하나 마추어 가봅시다. 목표가 있다면 달리면 되고 달리고나면 결승점에 도달한답니다.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관의부츠와 무관의방패 살펴보기 (0) | 2017.09.25 |
---|---|
리니지m 기사캐릭터 무관의 갑옷 무관의 망토 (0) | 2017.09.23 |
리니지M 붉은기사의대검과 돌장갑 (0) | 2017.09.22 |
해골귀걸이 그리고 무관의양손검 (0) | 2017.09.21 |
기사단의 반지와 빛나는 고대 목걸이의 제작공략집 (0) | 2017.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