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부터 흐리고 안개가 많이 낀 날씨군요. 그래도 하루를 시작하는 기분은 활기차게 시작해야겠죠? 금일 내용의 주제는 이번에 새로 등장한 다크엘프 전용방어구와 기존의 방어구의 다크엘프 클래스추가로 변경되어 같이 착용이 가능해진  방어구들 중 일부랍니다. 제가 현재 크로다크엘프와 건틀렛다크엘프로 두가지 모드 모두 육성중에 있습니다. 이들을 성장시키다가보니 보편적으로 요정, 마법사, 군주, 기사를 키웠을때 보다 시작점이 확실히 틀리더군요. 기존의 본캐릭터들의 변신이나 마법인형, 장비, 아데나등을 제외하고 순수 다크엘프만을 장비하나하나 제작하면서 필드사냥을 통하여 업을하고 아데나를 모아 장비를 강화시킨다고 가정하면 물론 지금 건틀렛다크엘프는 그렇게 육성중이긴 합니다. 시작점의 고급제작 아이템이 타직업군의 캐릭터들이 희귀등급에 맞먹을 정도의 성향을 보이더군요. 다만 다크엘프 제한이라 순수 다크엘프만 착용가능하답니다. 그만큼 장비가 좋으면 사냥속도 및 성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리니지M내에서 다크호스로 등장한 캐릭터죠. 그럼 새로 등장한 부위들중 몇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그림자 가면입니다. 사용 가능 클래스는 다크엘프만으로 제한입니다. 옵션은 물리방어력만 이방이 내려갑니다. 가죽 재질로 무게는 십수치면 가벼운축에 들어갑니다. 물리방어력만 표면적으로 본다면 마법방어투구나 요정 전용인 엘름의 축복 그리고 기사의 강철면갑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보이시죠? 하지만 잘보셔야 한답니다. 그림자 가면은 요정의 엘름의 축복처럼 안전강화가 육단계입니다. 마법방어투구와 강철면갑은 안전강화가 사단계이죠. 그럼 안전강화까지는 물리방어만 본다면 엘름의 축복과 맞먹습니다. 하지만 엘름의 축복에는 DEX+일이라는 옵션이 붙어 있죠. 그리고 마법방어투구는 안전강화까지 물리방어 육방에 마법방어 사방을 달고 있으며 강철면갑의 경우 안전강화까지 물리방어 칠방이랍니다. 그런데도 안으로 깊숙히 들어가면 그림자 가면이 엘름의 축복보다 더 위입니다. 부가 능력이 없는데도 좋답니다. 이유요? 아래 제작편을 보시죠.

 

 

그림자 가면의 제작창입니다. 고급 가죽의 수량이 단 세개만 필요하답니다. 가죽 삼십개와 십오만아데나만 있으면 바로 제작이 가능한 장비라는거죠. 최종 제작비까지 이십만아데나면 만듭니다. 마법방어투구는 각인장비상자에서도 나오고 제작에서 철 사십개랑 일만아데나면 충분히 만들지만 안전강화가 사강까지라 그 이후는 엄청난 투자금을 부으며 구강이상까지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며, 강철면갑의 경우 각인장비상자에서는 단 한번도 등장을 안했기에 제작을 하면 고급 철이 열두개가 들어갑니다. 그럼 육십만아데나이죠. 마지막 제작비용까지 육십오만 아데나입니다. 그림자 가면 제작비용에 세배이상의 아데나가 소모된답니다. 더구나 안전강화가 사까지라 마법방어투구와 같이 추후 강화투자금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합니다.



그 다음으로 엘름의 축복 강화단계까지 그림자 가면과 동일하며 부가 옵션까지 있어서 엘름의 축복이 한단계 위라고 생각되지만 일반 필드에서 먹는것은 오래걸리면 제작을 통하면 고급 가죽의 수량이 열여섯개가 필요하답니다. 팔십만아데나가 들어갑니다. 제작비용까지 총 팔십오만아데나입니다. 그림자 가면의 네배이상의 자금이 깨지는데요. 추후 구강화이상의 도전까지 고려한다면 그림자 가면이 부가 옵션이 없어도 제작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최고 강화에 투구류중 제일먼저 도달할 확률이 높은 방어구입니다. 그래서 저는 무관의 투구(희귀 등급으로 공수가 쉽지 않습니다.) 도 좋지만 강화까지 생각한다면 그림자 가면의 십사강이라는 목표가 다른 동일부위 방어구들보다 확실히 좋으므로 어느등급의 장비든 십사강의 수치를 달고 있다면 전설등급이라고 봐도 무방하겠죠. 이제 이해가 가셨나요?

 

 

다음으로 어둠의 머리띠입니다. 사용가능 클래스 역시 다크엘프이며 물리방어 일방에 MP회복이 삼입니다. 천 재질로 이루어져서 무게는 오수치만 나갑니다. 제가 미니게임을 통하여 강화경험상 안전강화수치는 사까지입니다. 그림자 가면에 비하여 물리방어와 안전강화수치가 매우 떨어지는데 대신 MP회복 삼이라는 수치가 붙어 있죠. 건틀렛이나 활을 착용한 다크엘프보다는 크로우나 이도류 그리고 검방을 착용하는 다크엘프들이 흑정령 마법버프를 많이 사용할수록 마나가 많이 부족해지는데 그 점을 카바할 수 있는 한 방편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근접캐릭터가 사용해야 하므로 고강화의 업그레이드비용이 상당히 발생해야만 하는 단점도 있습니다.

 

 

어둠의 머리띠는 고급 철이 네개가 필요하기때문에 이십만아데나가 들어가며 제작비용까지 총 이십오만아데나가 소비됩니다. 그림자 가면보다 개당 제작비용이 오만아데나가 더 깨지는군요. 하지만 MP회복틱이 필요하다면 필히 가져야만 하는 방어구입니다.

 

 

다음으로 어둠의 로브입니다. 사용가능 클래스는 다크엘프이며 물리방어 오수치를 가집니다. 안전강화수치는 육강화이며 HP회복이 오수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천 재질로 무게는 이십만 나가는 갑옷이네요. 경갑이군요.

 

 

어둠의 로브 제작을 보자면 고급 천이 다섯개가 필요합니다. 이십오만 아데나이죠. 제작비용까지 모두 삼십만아데나를 들여서 제작을 할수가 있답니다. HP회복틱이 있어서 필요시에 따라 그 효과를 볼수도 있지만 물약을 가득 채우고 자동사냥을 돌리는 리니지M에서 그 효과가 어떨지는 모르겠군요.



다만 고급등급의 갑옷치고 생산비는 저렴한 편이랍니다. 안전강화가 육단계라 구강화이상의 도전도 생각보다는 수월하겠습니다.

 

 

다음으로 기존에도 제작 가능하던 요정족 판금 갑옷입니다. 기사와 요정의 전유물이었는데요. 이번 업데이트로 다크엘프도 착용가능하답니다. 물리방어만 기본 육방을 가지며 안전강화수치도 육이랍니다. 대신 오리하루콘이라는 재질로 무게가 이백오십이라는 무거운 무게를 가집니다.

 

 

제작을 살펴보겠습니다. 고급 철이 열두개가 필요합니다. 육십만아데나가 들어가며 총 제작비용은 모두 육십오만아데나가 소비됩니다. 어둠의 로브에 비하여 제작비용이 두배이상 차이나는데요. 가성비로 따지자면 어둠의 로브가 더 좋지만 안전강화단계가 똑같이 육단계이며 최고 십사강화라는 점을 고려하고 물약을 가득 들어서 HP회복과 MP회복의 혜택을 전혀 받을수가 없다면 요정족 판금 갑옷이 어둠의 로브보다 동급에서 물리방어가 일방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저도 건틀렛 다크엘프는 요정족 판금 갑옷을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답니다. 추후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서 강화시키는 비용은 어둠의 로브보다는 더 들겠지만 같은 등급에서 물리방어가 더 높은쪽이 좋다고 저는 판단했답니다.

 

 

다음으로 요정족 방패입니다. 역시 기존의 방어구였죠. 기사, 요정, 마법사까지 사용되다가 이번에 다크엘프도 추가되었습니다. 이도류나 크로우, 활의 양손무기를 사용하는 다크엘프의 경우 해당 장비가 필요없으나 건틀렛이나 한손검을 사용하는 다크엘프의 경우 방패를 착용가능하기 때문에 사용해야하는 장비인데요. 물리방어가 기본 이방에 안전강화가 육단계라서 방어구치고 좋습니다. 은 재질로 무게는 오십입니다.

 

 

요정족 방패의 경우 고급 가죽이 여덟개가 필요하여 가죽 제작비가 사십만아데나가 들어가며 최종 제작비용까지 사십오만 아데나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제작하는 방패중에 요정족 방패와 그나마 무관의 방패가 착용이 가능하나 구강이상의 도전을 노릴려면 요정족 방패가 훨씬 공급이 쉽습니다. 제 크로다크엘프의 경우 장비착용 일세트가 검방모드로 육다마와 오무관의방패를 착용하고 있으며 건틀렛다크엘프의 경우 방패가 착용가능하여 요정족 방패를 제작하여 메두사의 방패와 번갈아가며 사용하고 있는데요. 무관의 방패는 희귀등급으로 공수가 쉽지가 않아서 고등급의 강화는 엄두도 안나고 있으며 오강에서 축젤을 발라서 띠워야지만 육강화이상의 수치를 얻을수가 있답니다. 물론 일반 젤로 발라서 띄워도 되지만 공수가 거의 없는만큼 함부로 지를 수 있는 장비는 아닙니다. 하지만 요정족방패의 경우 아데나만 계속 번다면 수시로 또는 대량으로 일반강화를 시도해서 구강화이상까지 노릴만한 여건을 가지고 있는 방패랍니다.

 

 

Posted by 황개

블로그 이미지
자주 놀러들 오세요^^:: 복 받으실거에요~~!
황개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05-03 19:05

최근에 올라온 글

달력

 « |  » 2025.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