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이번 글에서는 다들 평이 좋지가 않은 건틀렛을 착용한 원거리형 다크엘프(리니지M)를 육성하기 위해서 마법사의 계정에 한자리를 팠답니다. 군주계정에서는 이미 근거리형 크로우다크엘프로 육성을 진행하고 있죠. 처음부터 쓸모없는 아이템과 유형은 없다고 생각하는 저이기에 다만 보편적인 평가가 많이 떨어지는 사항들은 있으나 길은 가봐야지 안다고 제가 무리수를 두며 그 길을 한번 가볼려고 합니다. 제가 다크엘프를 육성하다가보니 건틀렛을 이용한 원거리형 다크엘프에게 단점도 많이 존재하나 장점도 속속 파악이 되었답니다. 그리고 본론으로 들어가기전에 한가지 변경된 사항을 먼저 알려드리겠습니다.

 

 

 

위 사진은 다크엘프가 처음 등장한 날 제 군주의 다크엘프 착용가능 장비글을 올린적이 있는데 낡은 완력의 티셔츠가 기사와 군주로만 사용가능 클래스였답니다. 그래서 어제까지 이 사실을 몰랐는데요.

 

 

바로 오늘 다시 확인해보니 쥐도새도 모르게 패치를 했더군요. 낡은 완력의 티셔츠가 다크엘프도 착용이 가능하게 되었답니다. 이전 해당 글을 읽으신분들은 해당장비의 사용가능 클래스가 변경되었으니 이제 다크엘프로 착용하실수가 있다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0123

 

낡은 완력의 티셔츠의 착용가능으로 인해 다크엘프의 장비칸 빈공간이 채워졌답니다. 그 동안 착용해 온 완력의 목걸이를 일단 빼고 해골목걸이를 착용시켰습니다. 낡은 완력의 티셔츠의 힘스텟 일옵션이 동일하게 붙어 있기때문에 힘스텟의 손해를 입지 않으며 물리방어를 총 육방을 올렸답니다. 상당한 이득이죠?

 

 

퀘스트를 진행하다가 십오레벨에 마을의 무기상인에게 들렀습니다. 건틀렛과 스팅이라는 발사체를 구입하였죠.

 

 

012

 

위에는 건틀렛과 스팅, 실버스팅의 상세사항을 슬라이드 사진으로 올렸습니다. 일반건틀렛은 무기명중 일에 큰 대상 작은 대상이 모두 이대미지를 보여줍니다. 스팅의 경우 모두 평댐이 십수치이며 실버스팅의 경우 평댐이 팔수치입니다. 대신 실버스팅의 경우 은재질이기때문에 언데드형 몬스터들에게 추가대미지를 입힙니다. 건틀렛의 대미지와 합칠경우 스팅을 사용할때는 십이의 대미지이며 실버스팅을 사용할 경우 십의 수치입니다.

 

012

 

위 슬라이드 사진은 비교사진으로 무기상인이 판매하는 크로스보우와 화살 그리고 은화살의 사진들입니다. 크로스보우는 다크엘프도 착용이 가능합니다. 크로스보우는 추가 대미지가 이수치에 무기 명중이 삼수치, 큰 대상 대미지가 이수치, 작은 대상 대미지가 삼수치입니다. 화살의 경우 큰 대상 대미지가 오수치, 작은 대상 대미지가 육수치이며 은화살 또한 화살과 같은 대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크로스보우와 화살의 대미지를 합치면 큰 대상 대미지 구수치, 작은 대상 대미지 십일수치입니다.



결론적으로 크로스 보우는 건틀렛보다 무기 명중은 이수치가 높지만 평대미지는 떨어진답니다. 현재 거래소에 진 건틀렛이라는 고급등급의 다크엘프전용무기가 저가에 판매되고 있는데요. 그만큼 공급이 많다는 소리입니다. 같은 등급이라면 무기 명중률이 동일해집니다. 그럼 결론적으로 평타로 본다면 다크엘프의 건틀렛이 한수 위입니다. 이것은 장점이죠. 하지만 사거리는 활이 더 길답니다. 이것은 단점입니다. 그럼 건틀렛이라는 무기에서 강점을 살릴려면 진 건틀렛의 구강화까지는 무조건 성공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저같은 경우는 공성전이나 개인간의 전투전이 아닌 필드사냥에서 효율성을 제일 먼저 계산한 생각이랍니다.

 

012

 

그리고 스킬면에서도 장점과 단점이 존재한답니다. 요정의 경우 트리플샷이라는 공통 연격스킬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바람요정이 경우 스톰샷이라는 공격업버프도 상당한 공격업을 시켜주는 스킬이죠. 하지만 다크엘프에게는 그런 스킬은 존재하지가 않는답니다. 이것이 최대 단점인데요. 대신에 요정에게 없는 버프가 있답니다. 바로 위 사진에 슬라이드로 올렸는데요. 마을의 마법상인에게 필요하다면 아데나로 흑정령 이단계까지 구입하여 배울수가 있기때문에 습득이 쉬운점이 장점이며 베놈 레지스트의 경우 독저항이 백프로가 되는 버프로 제가 크로우다크엘프로 쥬라카의 독까지 테스트한 결과(앞전 포스팅 내용에 있답니다. 필요하신분은 목록을 찾아보시면 상세하게 나와 있어요)독에 절대 안걸렸답니다. 그 다음으로 쉐도우 아머라는 버프스킬로 마법방어도 오수치 상승합니다. 언케니 닷지 근거리 회피가 삼십프로 증가합니다. 해당 버프스킬들은 건틀렛을 착용하고 시전가능하답니다. 이것은 건틀렛을 착용한 다크엘프에게 강점인 버프스킬이죠.



참고로 주의 점도 있답니다. 저도 이십오레벨이 되어서 마법상인에게서 인챈트 베놈이라는 무기에 독을 바르는 흑정령 수정을 구입하여 배웠죠. 결과는 근거리형 무기에만 사용되는 스킬이더군요. 원거리형 무기를 착용하면 해당 공격버프스킬이 시전안됩답니다. 혹시나해서 근거리형다크엘프에게 건틀렛을 착용시키고 버닝 스피릿츠도 그런가 테스트해본결과 시전안된다는 메세지가 나온답니다. 결론적으로 근거리형 다크엘프는 모든 흑정령의 마법을 다 사용가능하며 원거리형 다크엘프는 공격형 버프를 제외한 나머지 버프만 사용가능하다는 단점도 있더군요. 참 많은 제약이 따르는 원거리형 다크엘프입니다. 그럼 근거리형 다크엘프에게는 이미 무관장비들과 돌장갑등의 방어구들이 있어서 더 좋은 방어구는 현재 없는 상태인데요. 원거리형 다크엘프는 자산이 빈약한 마법사의 계정이라 고급등급부터 새로 탐색하여 제작하여 우선적으로 마추었답니다.

 

0123

 

기본부터 빈약한 계정이라 상점표 건틀렛을 구입후 창고에 보관하던 무기마법주문서를 꺼내어 일단 육강화를 시켰답니다. 그나마 육강이라도 해야지 쓸만하답니다. 하지만 초반에는 요정보다는 변신도 고급등급이라 딸리더군요.

 

01234

 

무기 다음으로 투구를 제작했답니다. 다크엘프의 장비는 두가지이더군요. 어둠시리즈, 그림자시리즈로 장비의 이름이 분류되는데요. 장비의 내용이나 강화등급도 각각 다르답니다. 위 슬라이드 사진은 어둠의 머리띠와 그림자 가면을 비교한 것입니다. 어둠의 머리띠의 경우 물리방어 일과 MP회복 삼수치가 있습니다. 제가 미니게임을 진행할때의 경험으로는 어둠의 머리띠는 안전강화가 사수치로 알고있답니다. 더구나 방어형버프만 사용하는 원거리형 다크엘프에게 MP회복틱이 필요할일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위 슬라이드 사진처럼 그림자 가면으로 선택했습니다. 그림자 가면은 물리방어가 이수치에 기타 옵션은 없지만 안전강화가 육수치랍니다. 투구면에서는 물리방어를 산택하였습니다.

 

012

 

다음으로 만든것이 민첩의 목걸이 입니다. 전체 캐릭터가 사용가능하며 무엇보다 원거리형에게 필요한 DEX 일수치가 붙어 있어서입니다.

 

012

 

다음으로 제작한 장비가 어둠의 망토입니다. 어둠의 망토는 보호망토와 같이 안전강화 수치가 사이지만 물리방어가 삼으로 동일하며 최대 HP삼십증가라는 옵션을 달고 있어서랍니다. 물론 다크엘프만이 착용가능한 장비입니다.

 

012

 

다음으로 어둠의 부츠를 제작하였습니다. 어둠의 부츠는 안전강화가 육수치이며 물리방어 이수치에 DEX 일수치를 달고 있어서 원거리형에게 적합한 방어구입니다. 물론 다크엘프만 착용가능 합니다.

 

01

 

이번에는 어둠의 장갑을 만들었습니다. 사용가능한 클래스는 아시죠? 물리방어 일수치에 원거리 명중이 이수치가 붙습니다. 대신 안전강화는 사까지입니다.



하지만 요정의 경우 이런 옵션을 착용할려면 거의 희귀급으로 가야만하는 능력치랍니다. 명궁의 장갑이 있지만 이 장갑에 비하면 떨어지죠.

 

012

 

다음으로 요정족 판금갑옷을 선택했습니다. 어둠의 로브도 있었지만 물리방어가 오수치에 HP회복수치가 오붙은 로브는 요정족 판금갑옷에 비하여 물리방어가 떨어지며 원거리형 다크엘프에게 체력회복수치는 크게 도움이 되지를 않을 것 같더군요. 그래서 물리방어를 선택했습니다.

 

012345

 

활을 착용할 경우 양손무기라서 방패를 착용못하고 가더를 착용해야만 합니다. 하지만 건틀렛을 착용하면 요정이 마족의 활을 착용하듯이 방패를 착용할수가 있는 이점이 있답니다. 그래서 방패도 제작하였는데요. 먼저 안전강화가 육인 요정족방패를 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거래서를 이용하여 여분으로 메두사의 방패를 싸게 구매하였답니다. 이유는 메두사의 방패에 달린 석화내성 삼심프로 옵션때문이랍니다. 안전강화까지 하면 요정족방패는 팔방을 매두사의 방패는 육방을 가지나 마법방어가 상당히 미약한 다크엘프는 필드사냥시 석화마법을 사용하는 몬스터들도 상대해야하기 때문에 해당 추가방패까지 준비한것이죠. 나머지 악세와 각반과 티는 기사캐릭터에 있는것을 우선 사용했답니다. 마법사계정은 마법사, 기사, 다크엘프 이렇게 세유형의 캐릭터가 있답니다. 지금 현재 건틀렛다크엘프는 사십칠랩을 찍고 있는데요. 레벨이 높아질수록 마법사보다는 확실히 아데나 버는 속도가 나긴합니다. 하루벌어서 방어구류를 먼저 하나씩 강화시키고 있답니다. 방어구가 안전강화까지 다 준비될때 저도 진 건틀렛을 득템하러 출발할 겁니다. 그럼 진 건틀렛의 구강화에 도전을 해야겠죠. 지금까지 제가 준비하는 원거리형 다크엘프였습니다. 좋은 결과를 빌어주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하루 마무리 잘하시고요. 내일 뵙겠습니다.

Posted by 황개

블로그 이미지
자주 놀러들 오세요^^:: 복 받으실거에요~~!
황개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05-07 05:32

최근에 올라온 글

달력

 « |  » 2025.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